본문 바로가기
컴퓨터

P6T SE + i7 950 & X5670 오버클럭 / 이외 잡세팅들

by 요한리베르토 2020. 1. 31.

2년을 넘도록 i7 950을 둘이 숫자 바꿔서 i5 970으로 잘못 써놨었는데 아무도 지적이 없었다니 정말 잊혀진 CPU인가

 

 

아무래도 천궁 빙화에 기쿨 달고 i7 950 오버를 달리긴 좀 쫄렸기에 테스트용 파워를 따로 장만했다

 

3930K 머신에는 3만원짜리 쿨러를 따로 사다 달아놨고 거기에 달려있던 9900MAX DF를 테스트용 쿨러로 낙점

 

(AM4 빼고는 다 지원된다)

 

 

 

 

전압 1.25V 넣고 손쉽게 200 X 19로 3.8GHz가 가능

 

 

 

 

그래봤자 i7-2600K 기본 클럭에 근소하게 앞서는 정도긴 하지만...

 

게다가 45nm의 한계로 전력 소모가 압도적으로 높다

 

이대로는 뭔가 심심하다 싶던차 네이버의 모 스토어에서 서버 적출 X5670을 2만 5천원에 판다길래 냅다 질렀다

 

X58 보드에서의 웨스트미어 오버클럭에 대해서는 다른 분께서 쓰신 친절한 가이드를 참고하도록 하자

 

 

http://blog.naver.com/cottonface/221202745833

 

1366 제온 오버클럭 - P6T SE + E5645

1편 - https://cottonface.blog.me/2211530520543편 - https://cottonface.blog.me/221301049538 소켓 1366...

blog.naver.com

 

 

 

X5670도 기본 클럭으로는 딱히 재미없는 녀석이니 냅다 오버클럭부터 진행한다

 

 

 

 

FSB : 램클럭 비율 설정을 보자

 

난 램오버는 건드리고 싶지 않으므로 기본 1600MHz를 유지할 것이다

 

그러려면 저 7개의 선택지는 이렇게 요약이 된다

 

1:6 = FSB 266 
1:8= FSB 200 
1:10 = FSB 160 
1:12 = FSB 133 
1:14 = FSB 114 
1:16 = FSB 100 
1:18 = FSB 89 

 

최대 24배수까지 지원인데 FSB 160부터는 24배수를 해봤자 3.8GHz...

 

FSB 266 or 200의 갈림길인데 FSB 266은 너무 높아서 문제인지 아예 화면조차 안 들어온다

 

FSB 200 밖에 선택지가 없으므로 이에 따라 세팅은 이렇게 된다

 

 

 

FSB 200에 배수는 22, 램 클럭 비율은 1:8을 넣어 램 클럭은 1600MHz, CPU 클럭은 200 X 22로 4.4GHz

 

코어 전압은 대충 1.35V를 넣어봤다

 

배수 세팅이 뭔가 해괴한게 22 다음 23 건너뛰고 바로 24다

 

극오버되나 24배수 넣어봤더니 이 쪽도 안 켜지더라...

 

 

 

이외엔 뭐 딱히 건들 것 없이 그냥 다 오토 넣어줘도 되는 듯

 

 

 

 

램타는 그냥 예전에 수동으로 JEDEC 표준 맞춰놨던거 불러왔다

 

저거 일일이 자동값으로 바꾸는 것도 일이라...

 

추가) 8G 램 세 개를 달았더니 램타를 오토로 놔둬야 제대로 인식이 된다

 

 

 

 

잘 돌아간다

 

 

 

 

7zip 벤치마크상으로는 대충 최신형 4c/8t CPU들까진 가까스로 따돌릴 수 있는 정도의 성능

 

추가) 8G X 3 트리플 채널로 세팅하니 4.2GHz로도 저 정도의 성능이 나온다

 

 

 

 

그러나 최신 명령어 미지원 및 뒤쳐지는 부동소수점 연산 능력으로 시네벤치 r20에서는 처참한 기록을 보여준다

 

 

 

 

CPU-Z 벤치마크

 

똑같이 4.4GHz 찍어놓은 3930K에 비해 좀 뒤쳐진다

 

 

 

 

링스 풀로드로 확인해본 최대 온도

 

뭐... 여름 아닌 이상 그럭저럭 쓸 수는 있을 듯 한데

 

 

 

 

전압 1.275V에 21배수로 4.2GHz 넣는게 제일 안전빵 세팅인 듯 하다

 

4.4GHz에 비해 전압 차이가 상당하다보니 온도도 꽤나 내려가는 편

 

 

 

- 덤) X58 칩셋 윈도우 7 / 10 스토리지 트레이 아이콘 문제

 

 

SATA 모드를 AHCI로 잡고 윈도우 10을 설치하니 SSD와 하드가 제거 가능한 장치로 인식되어 트레이에 '안전하게 제거하기' 아이콘이 뜨는 현상이 있었다

 

아수스 홈페이지에서 inf 파일로 된 SATA 드라이버를 받아 장치관리자를 통해 지정해봤으나 부팅 불가능이 되어버려 윈도우를 재설치해야 했다...

 

해외 포럼을 검색해보니 rst도 안 먹히고 레지스트리를 수정해 강제로 내부 포트로 인식시키는 것 밖에 답이 없다고 한다

 

윈도우 10 기준으로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storahci\Parameters\Device]
"TreatAsInternalPort"=hex(7):30,00,00,00,31,00,00,00,32,00,00,00,33,00,00,00,\
34,00,00,00,35,00,00,00,36,00,00,00,37,00,00,00,00,00

 

 

위의 내용을 메모장에 복붙하여 reg 파일로 저장한 뒤 실행하여 추가시켜주면 된다

 

 

윈도우 7은 약간 다르다

 

Windows Registry Editor Version 5.00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services\msahci\Controller0\Channel0]
"TreatAsInternalPort"=dword:00000001

 

 

여기서 Channel0 부분을 메인보드의 사타 포트 수에 따라 계속 바꿔가며 추가해주면 된다

 

가령 사타 포트가 6개라면 Channel0 ~ Channel5까지 각각 6번을 추가

 

아무리 그래도 누가 비스타까지 거슬러내려가겠느냐만 아마 비스타도 똑같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