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전체 글 (197)
뭘 거창하게 제목까지야

산지는 꽤 됐지만 아무튼... 107만원에 뜬거 보고 지금이 존버를 마칠 때라고 판단되어 질렀다 기존 700W 파워로는 꽤나 불안할 것으로 판단되어 파워도 안텍 HCG 1000W로 갈아탔다 벤치마크는 뭐 부질없어보이지만 일단 정상적으로 돌아가는지는 확인해야 하니... 일단 점수는 정상 범주로 보인다 GPU-Z도 한 번 확인해주고 뭐 기존에 떠돌던 얘기들과 별 다를게 없지만 대략적인 소감을 써보면 FSR 기능이 생각보다 꽤 괜찮다 FHD 해상도 + FSR 적용 네이티브 QHD 해상도 UI 같은게 살짝 뭉개지는 경향이 있지만 진짜 집중하고 보지 않으면 크게 티는 안 난다 대신 2D 게임과는 궁합이 썩 좋아보이지 않는 듯 고주파가 종특인 모델이라고는 하지만 내 경우에는 일반적인 게임 환경에서 고주파는 들리지 ..

i7-860 + P7P55D-E이 3만원에 올라와있길래 어느 정도 성능일지 궁금해서 냅다 샀는데... 조립을 하고 전원을 넣어보니 어째서인지 로드가 걸려도 아이들 상태의 9배수에서 클럭이 올라가지를 않는다 무엇이 문제인가 고심하다가 운좋게 분리수거장에서 H55 보드를 주워서 교차검증해본 결과 메인보드의 문제였다 다행이라면 다행이지만 정상 작동이 되는지 안 되는지도 모를 물건을 돈 받고 팔아먹는 정말 개호로잡놈 당근거지 마인드에 경의를 표한다 판매자의 언행이나 보드 생겨먹은 꼬라지 봐서는 어디서 주워와다가 돌아가는지 안 돌아가는지도 모르는 상태에서 그냥 팔아처먹은 것으로 추정되는데 잘 모르는 어르신이라 그럴 수도 있을거라고 실드치던 다른 당근거지새끼들도 같이 엿 처먹길 바래 피쓰 ㅗ^^ㅗ 주운 H55 보드..

CPU는 조스마 960T BE에 보드는 아수스 M4A87TD/USB3 보드는 기존 모델과 USB3.0 포트로 차별화된 모델인데 온보드 커넥터도 아니고 그냥 후면에 두 개 달려있는게 끝 보조전원 4핀 커넥터에 전원부 히트싱크 하나 없는 모양새에서 감이 오듯이 그렇게 좋은 놈은 아니다 윈도우 설치 과정에서 계속 USB가 인식됐다 안 됐다 해서 삽질을 꽤 반복한걸로 미뤄볼 때 보드 자체 상태도 그렇게 좋지는 않은 것 같고 그래픽카드는 어째서인지 DP 포트가 먹통인 사파이어 라데온 HD 5770 파워는 대충 굴러다니던거 달았다 쿨러는 매직스테이션 컴에서 떼온 물건 기본 클럭으로는 재미없는 녀석이니 3.8GHz 오버클럭 세팅을 해놨다 4.0GHz부터는 수율빨의 영역 아쉽게도 조반 부활은 되지 않는다 보드가 후달려..

어디선가 주워왔던 삼성 매직스테이션 슬림 케이스에 어디선가 주워왔던 애즈락 G3258 + H81M-HDS이다 말이 어디선가지 언제나 그렇듯 분리수거하러 갔다가 주워온거지만 아무튼 잘 기억은 안 나지만 케이스에 써진 연식이 2009년인걸로 보아 원래 있었던 내용물은 끽해봐야 5000번대 짭늑돌이었을 것이다 브랜드 완제품 케이스가 다 그렇듯 프런트 패널 커넥터가 한 뭉탱이로 뭉쳐져있어 다른 메인보드에 써먹기 어려우나, 어째서인지 이 보드에 그냥 꽂으니 일단 전원 버튼 핀 위치가 맞아서 키고 리셋하고 할 수는 있다 원래 다 통일인가? 쿨러는 예전 주연테크 i5-4690 본체 주워올 때 끼워져있었던 놈인데 꽤나 성능이 좋다 높이는 아슬아슬하게 컷 멋모르고 일단 최신 바이오스로 업데이트부터 했다가 오버클럭의 O자..

https://answers.microsoft.com/ko-kr/windows/forum/all/%ED%95%B4%EA%B2%B0%ED%95%A8/ba159335-2573-4f72-8bd4-909367299c13?auth=1 (해결함) 윈도우10에서 업데이트 후 무선랜 끊김문제 윈도우10에서 업데이트를 했을 때나 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을 깔았을 때 무선랜이 끊깁니다. 리얼텍 rtl8188cu 칩셋을 사용한 usb랜카드에서 발생한 문제인데 업데이트 전엔 문제없이 작동했고 업 answers.microsoft.com 장치관리자에서 저 두 놈을 우클릭해서 사용하지 않음으로 하거나 제거하면 된다 제거하면 핫스팟 사용 불가 일단 내 경우에는 저걸로 해결됐다 (A3000U)

monsterjohan.tistory.com/184 - 전 글에서 이어진다 라이젠5 3600 + B450 보드 시스템에 굳이 윈도우 XP 설치하기www.zone62.com/downloads/operating-systems/123-windows-xp-professional-sp3-x86-integral-edition Zone 94 - Windows XP Professional SP3 x86 - Integral Edition 2020.9.9 File Details Language: English A..monsterjohan.tistory.com 제목에 (아마도)라고 단서를 단 것은 그래픽카드를 여기서 더 올릴 여지가 있어서이다 먼저 그래픽카드 문제를 짚어보자윈도우 XP에서 드라이버가 지원되는 최고사양 그래픽..

monsterjohan.tistory.com/191 라이젠5 5600X + B450 보드 시스템에 굳이 윈도우 비스타 설치하기 XP나 7에 비해 확연히 인기가 없었던 녀석이다보니 저 둘과는 달리 트윅버전 그딴거 없다 고로 다른 시스템에서 정상 설치를 진행하여 파일 복사가 끝난 뒤 디스크를 5600X 시스템에 옮겨달고 PS/2 monsterjohan.tistory.com 지난 글에서 계속된다 일단 그래픽카드를 1050ti에서 970으로 바꿨다 비스타까지는 드라이버가 정식 지원이고 XP는 꼼수를 쓰면 드라이버 설치가 가능하기에 이제 비스타나 XP를 구동하려고 그래픽카드를 바꿔끼는 수고를 감행하지 않아도 된다 성능은 1050ti 대비 소폭 우위 wuapp로 업데이트가 되지 않는 문제를 해결하는 파일 뭐 서버 ..

그냥 PBO를 키는 것만으로는 수동오버 대비 뭔가 약간 후달리는 성능을 보여줬는데 커브 옵티마이저가 관건이었다 코어별로 수율 찾기 노가다하기엔 차마 엄두가 안 나서 일단 일괄 -20 정도만 줬다 NO/SoC 전압과 VDDP 전압을 약간 줄여줬다 클럭이 약 4.75GHz 정도까지 터진다 좀 지켜보면 4.775GHz까지도 올라가며 저 클럭에서 들어가는 전압은 1.39V 정도 4.65GHz 수동 오버 세팅에서 전압이 1.3V였음을 감안하면 전압이 좀 과한게 아닌가 싶지만 풀로드시 시스템 전력은 140W대로 비슷한 수준이다 미처 스샷을 못 찍었는데 아이들시에는 약 0.8~0.9V의 전압이 들어가며, 시스템 전력 소모는 45W선으로 수동 오버에 비해 10W 가까이 낮은 편 AIDA64 안정성 테스트로 갈궈본 결과..